안녕하세요.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서류가 필요한데요. 그중에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. 정말 간단하고 쉽게 따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주민센터 방문 없이 인터넷으로 발급받으시길 권합니다.
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으로 발급받는 방법!

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정부 24와 위택스를 방문하시면 됩니다. 저는 정부 24에서 쉽게 받아보려고 합니다.
- 검색창에 정부 24를 검색해서 들어갑니다.
- 밑에 주소도 남겨두겠습니다.
https://www.gov.kr/portal/main
정부서비스 | 정부24
정부의 서비스, 민원, 정책·정보를 통합·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
www.gov.kr

정부 24에 들어와서 서비스 -> 민원신청 -> 신청, 조회, 발급을 선택해 줍니다.
정부 24는 여러 가지 공인서류를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수 있는 좋은 정부홈페이지입니다. 살다 보면 분명히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으니 꼭 기억해 두세요.

신청, 조회, 발급을 누르면 검색창에 아무것도 없는 창이 나오는데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검색해 줍니다. 그러면 밑으로 3가지가 나오는데 첫 번째 세목별 과세증명을 발급받아야 합니다. 밑에 두 개는 방문수령을 해야 합니다.
- 검색창에 세목별 과세증명을 검색!
- 첫 번째 온라인 발급 항목의 발급버튼을 눌러준다.
- 주의! 두 번째, 세 번째 발급은 (방문수령)

발급을 누르면 로그인을 하지 않았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.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발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회원 신청하기로 발급을 해보겠습니다.
-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비회원으로 신청할 수 있다.


비회원 신청하기를 누르면 나오는 화면입니다. 동의하기를 누르고 본인의 정보를 넣어주면 됩니다.
- SMS 수신동의는 아니요를 선택해도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.

본인의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옵니다. 우선 밑으로 내려가기 전에 본인의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. 물론 간편 인증서도 할 수 있습니다.
-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.
- 간편 인증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. (간편 인증서:네이버, 카카오, PASS 등)


밑으로 내려오시면 빨간색 부분만 적어주시면 됩니다.
- 구분 : 개인
- 주소: 현재 등본의 주소
- 과세물건지 주소선택: 현재 거주지 주소를 치면 관할이 나옵니다. (주소를 치는 곳이 아닙니다.)
- 과세 연도: 필요한 과세 연도를 선택합니다. (처음 들어가시면 2022~2023년 자동 지정)
- 사용목적: 사용목적을 적어주시면 됩니다. 저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기 위해서 발급받기 때문에 종합소득세라고 적었습니다.
- 영업장: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. (빨간색 점이 없습니다.)
- 수령방법: 초기 온라인발급이 선택되어 있습니다.

모두 작성하시고 밑으로 내려오셔서 민원신청하기를 눌러주시면 새로운 창(과세목록)이 나옵니다.


과세목록이 새로운 창으로 나옵니다. 원하시는 항목을 선택하셔서 발급받을 수 있는데 저는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선택을 해줍니다.
- 원하시는 항목만 선택하셔도 됩니다.
- 저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기 위해서는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모두 선택을 했습니다.

항목을 선택하시고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서비스 신청내역으로 넘어옵니다.
- 일단 서비스 신청내역창에 나오면 발급이 완료된 겁니다.
- 문서출력 부분을 눌러서 출력이 가능합니다.
- 문서출력 또는 PC저장이 가능합니다.

발급받은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입니다.
간단하게 발급받으셨나요? 저도 처음 발급을 받아봤는데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.
'스마트스토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이과세자도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! ( 홈택스에서 발급, 수정하는 방법 ) (0) | 2023.03.25 |
---|
댓글